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연극
중세 연극이 쇠퇴의 길에 접어들기 이전에 이탈리아는 르네상스를 맞이하여 연극의 모습이 안팎으로 변모하기 시작하였다. 서양 연극에 대한 관념과 원리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산물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서양 연극의 외양은 대부분 이탈리아 르네상스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17,18세기까지만 해도 연극의 큰 몫을 차지했던 꼬메디아 델아르떼와 목가극의 형태를 낳았다.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극문학은 정통극인 비극, 희극 외에 위에서 언그반 목가극을 낳았는데 16세기에 들어서 크게 환영받은 이 극 형태는 그리스의 야희에서처럼 목동과 요정과 신화적 인물과 상상의 동물이 등장하지만 낭만적 사랑의 묘사와 섬세하고 세련된 감정 묘사가 주조를 이룬다. 서양 희곡의 중요한 특질을 마련해주었다는는 점에서 이탈리아 르네상스는 큰 의미를 갖는다. 첫째, 조야하고 때로는 천박하며 산만하여 일정한 형식을 갖추지 못한 중세의 희곡에 문학성을 불어넣어 주었다. 둘째,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희곡은 르네상스의 정신인 인본주의에서 파생된 풍부한 개서으이 존중과 인간적 의미의 제고를 강조했다. 셋째, 새로운 희곡은 문학 못지 않게 지성의 산물이 되었다 중세 민속그의 소박한 인물과 종교극의 단순한 인물들을 설 자리를 잃어버렸다. 입심 사나운 말재간에서 심오한 철학적 고뇌에 이르기까지 지적 관심이 충만했고 르네상스는 극문학과 연극 이론에서보다 극장과 무대술에서 보다 더 획기적이고 창의적인 기여를 했다. 원근화법의 창안이 그것이다. 원근 화법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최초의 실내극장이 곧 1618년에 세워진 teatro Farnese로 최초의 프로시니엄 아치를 설치한 프로시니엄 극장이다.
프로시니엄 극장이란 무대 장치의 외곽을 삼면으로 둘러싼 테두리를 말하는 것이다. 이는 매우 획기적인 것으로, 고대 극장이 이렇다 할 장치가 없는 영구 무대였고 중세의 무대는 한꺼번에 한 공연에 필요한 모든 장치를 늘어놓는 동시 무대였던데 비교하면 단일 장소의 환각을 실감있게 창출해 냈다. 무대 장치가 들어서는 부분과 배우들이 연기하는 부분이 완전히 분리되었는데 장치 부분은 뒤로 갈수록 높게 경사지게 만들었다. 이것 역시 장치의 원근감을 높여 주기 위한 것이다. 무대 장치는 순전히 회화적 배경의 구실을 했고 배우는 장치 앞쪽에서 장치와는 전혀 상관없이 연기했다. 장치와 배우의 접촉은 없었다는 이야기다. 심지어 책상과 걸상도 장치 안에 그림으로 그려넣었으며 실제로 무대 위에 실물을 가져다 놓고 배우가 사용하는 법은 없었다. 무대는 연단이었을 뿐 극중 인물의 생활 환경이라는 개념은 현대에 들어서야 생겨난 관념인 것이다. 무대는 위에서 맗나대로 단일 장소를 나타내므로 한 공연 도중에 장소의 이동에 따라 장면 전환을 할 필요가 생겨났는데 원근 화법의 새로운 혁신으로 초기의 각이 진 angled wing이 평평한 flat wing로 바뀌면서 여러 겹의 flat Wing을 포개서 세워 놓고 장소가 바뀔 때마다 한 겹씩 벗겨 내는 방식으로 장면 전환이 이루어졌다.
이를 발전시켜 모든 장치를 무대 밖까지 연결되도록 하고 거기에 바퀴를 달고 밧줄로 도르래를 거쳐 하나의 회전축에 연결한 방식인데 단 한명이 이것을 돌려서 감으면 모든 장치가 일시에 이동하여 그 장치 뒷부분의 새 장치가 드러나도록 하는데, 무대 전체의 그림이 마술처럼 삽시간에 바뀌는 이 광경은 장관이어서 당시 사람들은 장치 전환 자체를 구경거리로 삼을 정도였고 이것이 스펙터클한 무대의 발전을 가속해 주었다. 영국의 경우는 이와는 조금 다른 보다 단순한 groove system을 채택하였다. 위아래에 홈히 파인 문지방 같은 것을 부착하여 밀어 넣었다 뺐다 할수 있게 한 것인데 이는 간편하지만 많은 무대 종사원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각종 특수효과의 연출을 위한 기계장치들도 발달했다. 프로시니엄 극장과 원근화법에 의한 회화적 사실주의의 무대술은 둘이 합쳐져서 연극에서의 환각주의를 불러일으켰다. 이탈리아 르네상스기에 들어서서 비로소 실내 극장이 세워지고 장치 조명등의 무대술이 발달하면서 연극의 표현은 가속적으로 환각주의의 경향을 띄게 되고 공연은 제시주의에서 재현주의적 방식으로 옮아갔다. 환각주의가 절정에 도달한 것이 19세기 중반에 대두한 현대의 사실주의에 이르러서이다.
현대의 사실주의는 르네상스기에서부터 발아한 연극의 태도임을 상기해야 한다. 극장과 무대술에 국한했었고 희곡 창작과 배우의 연기는 여전히 제시 주의적 방식에 의존했었기 때문에 공연의 통일성이 심각하게 결여되어 있엇으나 현대 사실주의에 이르러서 희곡과 연기 등 연극의 나머지 요소들도 재현주의적 방식으로 이행하였다. 후일 신고전주의로 정립된 연극 이념에 따라 3일치의 법칙등이 지켜져야 하므로 장면의 전환을 필요로 하는 장소의 이동이 없었기 때문에, 새로운 무대술은 이 시기에 새롭게 태어난 극 형태인 오페라에서 빛을 볼 수 있었고 이 무대술이 널리 보급된 것은 오페라의 인기가 높아간 것과 운명을 같이했다. 또 하나의 중요한 극 형태로서 이탈리아의 르네상스의 산물인 곧 꼬메디아 델아르떼이다. 직업 배우의 연극이라고 직역할 수 있는 이 극 형태는 능숙한 희극 배우들이 간단한 줄거리에 의존하여 즉흥으로 꾸며대는 연극이다. 이 극 형태의 기원에 대해서는 많은 이론이 있으나 어느 것도 확실한 것은 없다. 이는 대중적 연극 형태로 후대 희극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연극사 정리 한 눈에 보기
연극사 정리(1) - 고대의 연극 ~ 동양의 전통 연극
고대의 연극 기원전 4천년 경의 고대 이집트까지 올라갈 수 있지만 최초의 훌륭한 연극은 고대 그리스에서 발현했다. 디오니소스를 받들기 위한 디오니소스 제전이 그것으로, 오늘날 기록이 남
duduhouse.tistory.com
연극사 정리(2) - 엘리자베스시대와 스페인 황금시대의 연극
엘리자베스시대와 스페인 황금시대의 연극 중세 후반부터 각 나라의 민족극이 주목받은 것은 르네상스 이후부터이다. 각 민족의 기질과 개성과 특징이 서로 다른 다양한 민족극을 경험하게 만
duduhouse.tistory.com
연극사 정리(4) - 신고전주의 연극
신고전주의 연극 신고전주의라고 불리는 이 문예 창작의 우너리와 방법에 대하여 최초로 이론적 체계가 수립되기 시작한 것을 프랑스에서였다. 이들 신고적주의의 창안자들은 세부적해석을 달
duduhouse.tistory.com
연극사정리(5) - 낭만주의 연극
낭만주의 연극 낭만주의가 하나의 의식적인 문예운동으로서 추구되어진 것은 19세기에 들어서이다. 19세기 낭만주의가 연극에서 최종적 승리를 구가한 것은 1830년에 프랑스의 극작가 빅토르 휴
duduhouse.tistory.com
'생각과 사유 > 연극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출가처럼 생각하기> 마이클 블룸 저 요약 (0) | 2023.11.12 |
---|---|
연극사 정리(5) - 낭만주의 연극 (1) | 2023.11.12 |
연극사 정리(4) - 신고전주의 연극 (1) | 2023.11.12 |
연극사 정리(2) - 엘리자베스시대와 스페인 황금시대의 연극 (0) | 2023.11.12 |
연극사 정리(1) - 고대의 연극 ~ 동양의 전통 연극 (0) | 2023.11.12 |
댓글